•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식물보호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Plant Protection
관련부처 :
농촌진흥청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식물보호산업기사, 식물보호기사

2. 자격정보

□ 식물보호산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식물보호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식물의 품종이나 재배기술 등의 발전과 더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식물보호를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식물보호에 관한 기술이론 지식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식물 피해의 진단 및 방제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구체적으로 농작물의 병, 해충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고 농작물, 수목 등 식물의 병, 해충, 잡초를 정확히 감별하여 적용약재를 선정하는 일을 수행.
또한 재배식물에 적합한 토양의 개선, 토양 및 기후에 맞는 각종 유기물 물질을 선정하여 식물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드는 직무를 담당.
□ 진로 및 전망
창업

- 농약사, 농약방을 창업하기 위해서는 농약판매관리인을 두어야 하고, 농약판매관리인이 되려면 식물보호(산업)기사 자격이 필요함.

취업

- 농약회사, 종묘회사, 농약판매상, 식물방역업체, 식물병원, 종자보급소 등으로 취업 가능.

- 또한 농촌진흥청, 산림청, 국립식물검역원 등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농업직렬의 일반농업, 농화학, 식품검역, 생명유전 직류, 임업직렬의 산림조경, 산림자원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자격부여

- 식물보호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수목원 전문관리인 자격이 부여되는데, 수목원 등록을 위해서는 전문관리인 1인 이상이 필요함.

- 농약관리법에 의한 농약 판매업의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용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0,8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기출문제를 참조

- 농작물 : 영상자료를 동한 농작물 피해진단, 현미경을 이용한 동정 작업, 방제 작업 평가

- 수목 : 영상자료를 동한 수목 피해진단, 외과수술 작업, 수간주사 작업, 방제 작업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원예과, 화훼원예과, 농(업)생물학과, 농화학과 등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건설 중 토목, 조경, 도시·교통, 농림어업

시험과목

- 필기

1) 식물병리학
2) 농림해충학
3) 농약학
4) 잡초방제학

- 실기

1) 식물보호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20분

1 과목 : 식물병리학
  • 1. 다음에 해당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병원체가 기주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능력이다.

    • 1특이성
    • 2감수성
    • 3병원성
    • 4기생성
  • 2. 벼 흰잎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 1세균
    • 2곰팡이
    • 3바이러스
    • 4파이토플라스마
  • 3. 고추 탄저병이 발생하여 피해가 가장 큰 환경은?

    • 1고온 다습
    • 2저온 건조
    • 3고온 건조
    • 4저온 다습
  • 4. 강풍 후에 발생이 가장 많은 식물병은?

  • 5. 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 6.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 다음은 어느 병원균에 대한 설명인가?

    - 균사에 격벽이 없다.
    - 유주자낭을 형성한다.
    - 난포자를 형성한다.
    - 토마토에도 병을 일으킨다.

  • 8. 식물병의 생태학적 방제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 9. 고구마 검은무늬병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 10. 보리 겉깜부기병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 11. 출수 후 씨알에 발생하며 화기감염을 하는 식물병은?

  • 12. 식물병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3. 식물병의 생물학적 진단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4. 박테이로파지(bacteriophage)의 의미로 옳은 것은?

  • 15.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식물병의 전형적인 병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 16. 바이로이드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병은?

  • 17. 감자 Y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 식물병원균의 생태형(rece)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19. 벼 도열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 20. 사과나무 축과병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2 과목 : 농림해충학
  • 21. 흡즙성 해충으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22. 곤충의 체벽을 이루는 조직으로 탈피 시 대부분이 체내로 흡수되어 재활용되는 것은?

  • 23. 해충이 가해하는 기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24. 이화명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5. 지구상에서 곤충이 번성하게 된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6.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해충은?

    늦가을에 암수가 교미하여 월동난을 낳고 봄철에는 간모가 단위생식으로 증식을 한다. 일부 종은 겨울기주로 활엽수를, 여름기주로 초본류를 이용하여 기생한다.

  • 27. 벼물바구미의 분류학적 위치는?

  • 28. 곤충의 휴면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9. 식물체의 뿌리, 줄기 또는 잎을 통하여 약제가 식물체 내에 들어가고, 해충이 약제가 흡수된 식물을 섭식하는 경우에 해충 체내로 약제 성분이 들어가 죽게 하는 살충제는?

  • 30. 가로수에 밴딩(banding)을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주요 대상은?

  • 31.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 32. 성충과 유충이 모두 기주를 직접 가해하는 것은?

  • 33. 곤충의 생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4. 유약호르몬이나 탈피호르몬 등을 이용하는 농약계통은?

  • 35. 우리나라에서 월동하기 힘들고 동남아시아 및 중국으로부터 비래하여 발생하는 해충은?

  • 36. 곤충의 가슴에 구성된 체절 수는?

  • 37. 밤나무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8.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9. 곤충의 소화계통 중에서 분해된 음식물의 영양분을 흡수라는 곳은?

  • 40. 진딧물 및 매미의 입틀 모양은?

3 과목 : 농약학
  • 41. methyl bromi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2. 농약제형의 형태가 직접살포제로 사용되는 것은?

  • 43. 다음 화합물 중 협력제(協力制)는?

  • 44. 농약의 독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LD50의 의미는?

  • 45. 농약에 의한 약해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 46. 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호흡저해가 아닌 것은?

  • 47. 농약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로 부로 제초제나 생장조정제로 이용되고 있는 농약은?

  • 48. 접촉독, 소화중독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야생조류에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여 사용시 주의하여야 하는 농약은?

  • 49. 액체를 포유동물에 경구 투여한 고독성농약을 반수치사량[mg/kg체중]으로 나타낸 수치로서 옳은 것은?

  • 50. 25% DDT유제(비중:1.0) 100mL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몇 약 L인가?

  • 51. 농약의 물리적 성질 중 습전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 52. 수(水)불용성인 농약원제로써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적당한 제조형태가 아닌 것은?

  • 53. 다음과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는 제초제는?

  • 54. 유기인계 살충제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5. 사과, 수박의 탄저병에 적용하는 벤지미다졸계살균제는?

  • 56. 살포된 분제가 식물체 표면에 잘 달라붙게 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 57. 농약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가성소다(NaO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8. 대표적인 약제로는 Drin, DDT, BHC이며 사람이나 동물의 체내에 들어가면 분해되어 배설되지 않고 체내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성질이 있는 약제는?

  • 59. 다음 중 식물생장조정제가 아닌 것은?

  • 60. 펜프로파트린 유제를 1000배액으로 희석하여 10a 당 140L를 분무하려고 할 때 원액 몇 mL가 필요한가?

4 과목 : 잡초방제학
  • 61. 사초과 잡초가 아닌 것은?

  • 62. 식물병원균이나 곤충을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

  • 63. 잡초 발생으로 예상되는 피해가 아닌 것은?

  • 64. 잡초에 의한 작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5. 질소나 인산을 비롯한 카드뮴, 니켈 및 폐놀계의 독물질을 다량 흡수하여 수질을 정화시키는 능력이 가장 우수한 잡초는?

  • 66. 제초제 종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7. 혼합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8. 잡초와의 광경합에서 가장 유리한 벼 품종은?

  • 69. 주로 논에서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 70. 제초제를 연용해도 저항성 잡초의 발현사례가 적은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 71. 제초제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2. 군락 내 잡초의 총건물중이 200g, 강피의 건물중이 150g이면 강피의 중요값은?

  • 73. 바람에 의한 잡초 종자의 이동 거리가 가장 먼 것은?

  • 74. 입체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5. 잡초 종이 가장 많은 것은?

  • 76. 다른 잡초 방제 방법과 비교한 화학적 방제 방법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 77. 잡초의 생리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8. 벼의 경우 밭보다 논에서 잡초가 적게 발생하는 주요 이유는?

  • 79. 잡초 방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80. 다음 중 작물의 전 생육기간에 비하여 잡초경합 한계기간이 가장 긴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