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자동차정비기사
영문명 :
Engineer Motor Vehicles Maintenance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동차정비기사

2. 자격정보

□ 자동차정비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자동차정비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자동차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운행되는 자동차 수가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공학분야에 관한 기술지식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차정비업무를 수행할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2년부터 '자동차정비기사'와 '자동차검사기사'가 '자동차정비기사'로 통합됨.
□ 주요특징
자동차정비 분야에 관한 공학적 기술지식을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차 정비 업무의 기술적 부분을 담당하거나 지도를 수행하는 전문기능인력으로, 자동차 정비업체의 정비책임자급에 해당.
자동차의 엔진, 전자제어장치, 전기, 새시부분의 점검을 통해 직접 정비를 하거나 정비를 지도, 감독.
냉각수, 윤활유, 충전상태, 유압 등 사고예방을 위한 일상점검과 정기점검을 실시하며 낡은 부품을 교체하거나 정비를 수행.
엔진부분, 전기부분, 새시부분으로 나누어 업무를 수행.
앞으로 전자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한 자동항법장치 등을 갖춘 고급자동차, 카일렉트로닉스산업(자동차전자화)의 발전으로 재래차의 혁신적 대체를 목적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차 등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과 재래차의 점진적 개량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안전장치(충동경보장치, 헤드업디스플레이, 경량신소재차, ECU 등), 편익증대장치(내비게이션 시스템, 전자조향장치, 전자완충장치 등)등의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고급자동차, 미래형 자동차 등과 관련한 미래기술발전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그와 관련한 정비업무를 습득하는 것이 필요.
□ 진로 및 전망
창업

- 카센터(자동차부분정비업체), 카인테리어, 밧데리점, 튜닝전문점, 오토매틱전문점 등을 직접 개업하여 운영 가능.

취업

- 주로 자동차 업체의 생산현장이나 판매 및 A/S부서, 외제차수입업체, 자동차정비업체 등에 취업.

- 카센터(자동차부분정비업체), 카인테리어, 밧데리점, 튜닝전문점, 오토매틱전문점 등에 진출할 수 있음.

- 자동차부품업체, 중고차매매업체, 자동차검사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음.

- 버스운송회사, 택시운송회사 등 자동차운수업체에 진출하여 활동할 수 있음.

우대

- 카센터 등에서 자동차정비 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채용 시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운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자동차정비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자동차관리법에 의해 자동차운수사업체, 자동차점검정비업체의 정비관리자로 활동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64,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자동차정비 및 검사에 관한 숙련된 지식 및 기능을 가지고 작업현장의 지도 및 감독, 경영층과 정비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관리자로서의 역할과 각종 공구 및 기기와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엔진, 섀시, 전기장치 등의 결함이나 고장부위를 진단하는 정비 및 검사작업과 안전사항 등을 준수하는 직무 수행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의 자동차학과, 자동차공학, 자동차정비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일반기계공학
2) 기계열역학
3) 자동차엔진
4) 자동차섀시
5) 자동차전기

- 실기

1) 자동차정비 작업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50점) + 작업형(6시간 정도, 5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450분

1 과목 : 일반기계공학
  • 1. 접촉면 안지름 60mm, 바깥지름 100mm의 단판클러치를 1㎾, 1450rpm으로 전동할 때 클러치를 미는 힘(N)은? (단, 클러치 접촉면의 재료는 주철과 청동으로 마찰계수는 0.2이다.)

    • 1823
    • 2411
    • 382
    • 441
  • 2.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1스프링 와셔를 사용
    • 2로크너트를 사용
    • 3자동 죔 너트를 사용
    • 4캡 너트를 사용
  • 3. 축 추력 방지방법으로 옳은 것은?

    • 1수직 공을 설치
    • 2평형 원판을 설치
    • 3전면에 방사상 리브(Lib)를 설치
    • 4다단 펌프의 회전차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설치
  • 4. 원형 단면축의 비틀림 모멘트를 구할 때 관계 없는 것은?

  • 5. 금속에 외력이 가해질 때, 결정격자가 불완전하거나 결함이 있어 이동이 발생하는 현상은?

  • 6. 교차하는 두 축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원추형으로 만든 기어는?

  • 7. 고온에 장시간 정하중을 받는 재료의 허용응력을 구하기 위한 기준강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8. TIG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 유체기계에서 물속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가 기포로 되어 펌프와 수차 등의 날개에 손상을 일으키는 현상은?

  • 10. 보(beam)의 처짐 곡선 미분방정식을 나타낸 것은? (단, M : 보의 굽힘응력, V : 보의 전단응력, EI : 굽힘강성계수이다.)

  • 11. 연삭숫돌 결합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2. 금속재료를 압축하여 눌렀을 때 넓게 퍼지는 성질은?

  • 13. 다이얼 게이지의 보관 및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14. 용기 내의 압력을 대기압력 이하의 저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대기압력 쪽으로 기체를 배출하는 것은?

  • 15. 브레이크라이닝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 16. 금속을 용융 또는 반용융하여 금속주형 속에 고압으로 주입하는 특수주조법은?

  • 17. 지름 22mm인 구리선을 인발하여 20mm가 되었다. 구리의 단면을 축소시키는데 필요한 응력을 303㎏f/cm2라고 할 때 이 인발에 필요한 인발력(㎏f)은 약 얼마인가?

  • 18. 황동을 냉간 가공하여 재결정온도 이하의 낮은 온도로 풀림하면 가공 상태보다 오히려 경화되는 현상은?

  • 19. 보스에 홈을 판 후 키를 박아 마찰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키로서 큰 힘을 전달하는데 부적당한 것은?

  • 20. 치수가 동일한 강봉과 동봉에 동일한 인장력을 가하여 생기는 신장률 εs, εc가 8:17이라고 하면, 이때 탄성계수(Es/Ec)의비는?

2 과목 : 기계열역학
  • 21. 계가 정적 과정으로 상태 1에서 상태 2로 변화할 때 단순압축성 계에 대한 열역학 제1법칙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단, U, Q, W는 각각 내부에너지, 열량, 일량이다.)

  • 22. 온도 20℃에서 계기압력 0.183MPa의 타이어가 고속주행으로 온도 80℃로 상승할 때 압력은 주행 전과 비교하여 약 몇 kPa 상승하는가? (단, 타이어의 체적은 변하지 않고, 타이어 내의 공기는 이상기체로 가정하며, 대기압은 101.3kPa이다.)

  • 23. 증기터빈에서 질량유량이 1.5㎏/s이고, 열손실률이 8.5㎾이다. 터빈으로 출입하는 수증기에 대한 값은 아래 그림과 같다면 터빈의 출력은 약 몇 ㎾인가?

  • 24. 10℃에서 160℃까지 공기의 평균 정적비열은 0.7315kJ/(㎏·K)이다. 이 온도 변화에서 공기 1㎏의 내부에너지 변화는 약 몇 kJ인가?

  • 25. 완전가스의 내부에너지(u)는 어떤 함수인가?

  • 26. 밀폐용기에 비내부에너지가 200kJ/㎏인 기체가 0.5㎏ 들어있다. 이 기체를 용량이 500W인 전기가열기로 2분 동안 가열한다면 최종상태에서 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약 몇 kJ인가? (단, 열량은 기체로만 전달된다고 한다.)

  • 27. 증기를 가역 단열과정을 거쳐 팽창시키면 증기의 엔트로피는?

  • 28. 계가 비가역 사이클을 이룰 때 클라우지우스(Clausius)의 적분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T는 온도, Q는 열량이다.)

  • 29. 어떤 냉동기에서 0℃의 물로 0℃의 얼음 2ton을 만드는데 180MJ의 일이 소요된다면 이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단, 물의 융해열은 334kJ/㎏이다.)

  • 30. 수소(H2)가 이상기체라면 절대압력 1MPa, 온도 100℃에서의 비체적은 약 몇 m3/㎏인가? (단, 일반기체상수는 8.3145kJ/(kmol·K)이다.)

  • 31. 과열증기를 냉각시켰더니 포화영역 안으로 들어와서 비체적이 0.2327m3/㎏이 되었다. 이때 포화액과 포화증기의 비체적이 각각 1.079×10-3m3/㎏, 0.5243m3/㎏이라면 건도는 얼마인가?

  • 32. 비열비가 1.29, 분자량이 44인 이상 기체의 정압비열은 약 몇 kJ/(㎏·K)인가? (단, 일반기체상수는 8.314kJ/(kmol·K)이다.)

  • 33. 온도가 127℃, 압력이 0.5MPa, 비체적이 0.4m3/㎏인 이상기체가 같은 압력 하에서 비체적이 0.3m3/㎏으로 되었다면 온도는 약 몇 ℃가 되는가?

  • 34. 증기동력 사이클의 종류 중 재열사이클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5. 한 밀폐계가 190kJ의 열을 받으면서 외부에 20kJ의 일을 한다면 이 계의 내부에너지의 변호는 약 얼마인가?

  • 36. 다음 중 가장 낮은 온도는?

  • 37. 온도 15℃, 압력 100kPa 상태의 체적이 일정한 용기 안에 어떤 이상 기체 5㎏이 들어있다. 이 기체가 50℃가 될 때까지 가열되는 동안의 엔트로피 증가량은 약 몇 kJ/K인가? (단, 이 기체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1.001kJ/(㎏·K), 0.7171kJ/(㎏·K)이다.)

  • 38. 열펌프를 난방에 이용하려 한다. 실내 온도는 18℃이고, 실외 온도는 ?15℃이며 벽을 통한 열손실은 12㎾이다. 열펌프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동력은 약 몇 ㎾인가?

  • 39. 오토사이클의 압축비(ε)가 8일 때 이론열효율은 약 몇 %인가? (단, 비열비(k)는 1.4이다.)

  • 40. 이상적인 카르노 사이클의 열기관이 500℃인 열원으로부터 500kJ을 받고, 25℃에 열을 방출한다. 이 사이클의 일(W)과 효율(ηth)은 얼마인가?

3 과목 : 자동차기관
  • 41. 전자제어 가솔린엔진이 워밍업 된 후 아이들 스피드 컨트롤(ISC)의 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42. 압축압력 시험 준비 작업이 아닌 것은?

  • 43. 전자제어 연료분사 엔진에서 공기흐름 계측에 플랩(flap)의 움직임 양을 전압으로 바꾸어 컴퓨터로 보내는 것은?

  • 44. 기관의 냉각장치에서 보텀(bottom) 바이 패스 냉각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45. 열막(Hot Film)형식 흡입 공기량 센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46. 전자제어 가솔린 연료분사장치의 피드백 제어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 47. 피스톤 행정의 길이가 100mm, 엔진의 회전수가 1500rpm인 4행정 사이클 기관의 피스톤 평균속도(m/s)는?

  • 48. 다음 중 질소산화물(NOx) 발생량이 많은 경우는?

  • 49. LPI(Liquid Petroleum injection) 시스템 에서 연료 펌프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옮은 것은?

  • 50. 자동차 배출가스의 유해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1. 이상적인 디젤 사이클의 열효율을 증가 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5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GDI엔진의 연소 특성 중 하나로서 고부하 영역에서 흡입 행정시 연료가 분사되어 연료의 기화열이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실린더 내의 공기 밀도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53. 자동차 기관의 지압선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 54. 피스톤과 실린더 간극이 클 때 일어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55. 기관의 증배기량이 1400cc인 4행정 사이클 기관이 2570rpm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때 도시평균 유효압력이 10㎏f/cm2이라면 도시마력(PS)은 약 얼마인가?

  • 56. 수냉식 기관의 과열 원인이 아닌 것은?

  • 57. 전자제어 가솔린엔진에서 흡입공기량 센서의 고장 시 예상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 58. 평균 유효압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9. 전자제어 디젤엔진에서 커먼레일 방식의 고압 연료 계통에 설치된 구성품이 아닌 것은?

  • 60. EGR율(EGR ratio)을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4 과목 : 자동차새시
  • 61. 자동변속기 토크 컨버터의 클러치 시스템에서 고장감지 검출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62. 추진측의 굽음 진동인 휠링(whirling)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옳은 것은?

  • 63. 프로포셔닝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4. 공기식 제동장치에서 압력 조정기의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5. 자동변속기 차량의 토크 컨버터에서 토크 증대 비율이 가장 클 때는?

  • 66. 자동차 주행성능을 산출함에 있어 자동차 중량 또는 총중량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 67. 전자제어 현가장치(ECS)에서 급가속 시의 차고제어로 옳은 것은?

  • 68.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제어 종류가 아닌 것은?

  • 69. 바퀴의 미끄럼 및 구동력과 관련하여 미끄럼률을 구하는 식은? (단, V : 차체의 주행속도, Vω : 바퀴의 회전속도이다.)

  • 70. ABS에서 ECU의 출력신호에 의해 각 휠실린더의 유압을 제어하는 것은?

  • 71. 전자제어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토크 컨버터의 유체를 통해 동력을 전달시키지 않고 펌프와 터빈을 직접 구동하는 기능은?

  • 72. 유효 반경 0.4m인 바퀴가 600rpm으로 회전할 때 자동차의 주행속도(㎞/h)는약 얼마인가? (단, 주행저항 및 노면에 의한 마찰은 무시한다.)

  • 73. 승용자동차의 손조작식 주차제동장치의 측정 시 조작력 기준은? (단,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다.)

  • 74. 유압식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75. 자동차의 휠베이스가 2.4m 안쪽 바퀴의 최대 조향각이 35°, 바깥쪽 바퀴의 최대 조향각이 30°일 때 이 자동차의 최소 회전반경(m)은? (단, 바퀴 접지면 중심과 킹핀과의 거리는 20㎝이다.)

  • 76. 수동 변속기에서 기어의 물림 시 2중 물림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곳은?

  • 77. AB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8. 전기회생제동장치가 주제동장치의 일부로 작동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다.)

  • 79. 주행 중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스탠딩 웨이브 현상의 방지방법으로 틀린 것은?

  • 80. 자동차의 조향핸들이 무거운 원인이 아닌 것은?

5 과목 : 자동차전기
  • 81. 자동차규칙상 경음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2. 주행안전장치에서 AFL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의 주요 제어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83. 자동차 에어컨 냉매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 84. 기동전동기 회전이 느려지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 85. 배터리 격리판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 86. HID 전조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7. 전자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8.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전원을 인버터로 공급하는 구성품은?

  • 89. 하이브리드 자동차 용어 (KS R 0121)에서 충전시켜 다시 쓸 수 있는 전지를 의미하는 것은?

  • 90. 디젤엔진에서 매연 발생이 심한 원인으로 틀린 것은? (단, 터보장착 차량이다.)

  • 91. 자동차규칙상 타이어 공기압 경고장치의 성능기준에 대한 아래 설명에서 ( ) 안의 내용이 순서대로 짝지어진 것은?

    자동차에 장착된 타이어 중 (   ) 타이어의 "운행공기압"이 (   )가 감소된 공기압에 도달한 후 60분의 누적주행시간 이내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장치 자동표시기"의 식별부호를 점등시킬 것

  • 92. 저항 2.5Ω에 전류 10A를 40분 동안 흐르게 하였을 때 소비된 전력량(㎾h)은?

  • 93. 전압 110V, 전류 65A인 발전기의 출력(PS)은? (단, 발전기의 효율은 85%이다.)

  • 94. 전기 자동차용 전동기에 요구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 95. 배전기 방식의 점화장치에서 크랭크각과 1번 실린더 상사점을 감지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 96. 에어백(Air Bag)의 구성부품이 아닌 것은?

  • 97. 반도체의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 98. 자동차규칙상 앞면창유리에 설치하는 창 닦이기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초소형자동차는 제외한다.)

  • 99. 교류발전기에서 B단자(출력단자)를 연결 하지 않은 상태로 엔진을 장시간 고속 회전하였을 때 발생되는 현상은?

  • 100. 일반적인 자동차 통신에서 고속 CAN 통신이 적용되는 부분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